‘말이 잘 통하는 챗봇’의 의미 - 주간 AI 트렌드 #34 (2023.1.9.~1.13.)

2023-01-16
조회수 54

주간 AI 트렌드는 TEXTNET 구성원들이 한 주간 인사이트를 얻은 AI 관련 정보나 분야 트렌드를 스크랩해 나누는 글입니다. 제목을 누르시면 자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하여 의견이 있으시거나 전하시고 싶은 소식이 있으시면 nanhee@textnet.kr로 알려주세요! 여러분의 메일을 기다립니다.


○ chatGPT의 등장 이후 판도가 변하고 있습니다. 뒤이어 검색엔진 you.com이 대화 형식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시작했고, 구글·딥마인드의 MedPaLM이 등장했으며, 이제 쇼핑을 돕는 챗봇 형태의 서비스가 출시된다고 하죠. 공통점은 ‘대화형’이라는 것입니다.


○ chatGPT를 보고 우리가 가장 크게 놀랐던 것은, 질문에 대해 얼마나 뛰어난 답을 내어놓느냐 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대화형을 채택한 이상 연속적인 대화가 얼마나 유려하게 진행되느냐도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게 됩니다. 실제로 이 부분이 대화형 AI의 약점으로 작용합니다. 어떤 사용자들은 이 부분을 파고들어 AI를 놀리거나 논리적 모순을 만들거나, AI가 비윤리적 발언을 하게 하기도 하죠. 


○ 대화의 자연스러움을 좌우하는 것은 탁월한 언어구사력 뿐만 아니라 연속 대화에서 보이는 발화 패턴입니다.  또한 대화 목적 달성을 위해 Agent가 어떤 대화 전략을 구사하느냐도 키포인트가 되겠죠. 일상 대화 챗봇은 물론이고 특히 심리 상담과 같은 특수한 도메인에 있어서 이 부분은 더욱 중요해집니다. 대화형 AI 서비스 기획에 대화 전문가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 이 주의 소식

- 네이버 '클로바 케어콜', 목적성 안부 대화 기능 도입…'AI 복지사'로 거듭

-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사업 참여기업, 美CES서 날았다

- 생성 AI 투자 열풍...지난해 78개 기업에 1조7000억원 투자

- [CES 2023] 스타트업 "생성AI, 교육·패션·검색엔진에 접목"

- 삼일PwC경영연구원 : 5대 테마로 살펴본 CES 2023

- "AI 챗봇 개발 정체기, 2026년에 온다"

- [AI 전망 2023] 서울대 장병탁 교수 "머신러닝 아닌 러닝머신 시대 온다"

-'쇼핑 GPT' 등장하나...AI 챗봇 활용 대화형 쇼핑 진화 예고

- MS, 'Bing'이어 '오피스'와 이메일에 '챗GPT' 도입

- "생성AI는 게임 체인저, 사회 차원 대비 필요해”

- '대화형 AI챗봇' 챗GPT, 유료 모델 나오나

- "LLM, 헬스케어·로보틱스에서 빠르게 성장"...엔비디아 AI 개발자 밋업 개최


사업자명. 주식회사 스피링크 | 대표자명. 고경민

E-mail. cs@textnet.kr

Addr.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 366 트윈시티 남산 오피스동 패스트파이브 서울역점 807호, 812호

Biz License. 827-86-00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