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형 인터페이스가 가져올 UX 패러다임의 변화 - 주간 AI 트렌드 #38 (2023.2.20.~ 2.24.)

2023-02-28
조회수 424

주간 AI 트렌드는 TEXTNET 구성원들이 한 주간 인사이트를 얻은 AI 관련 정보나 분야 트렌드를 스크랩해 나누는 글입니다. 제목을 누르시면 자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하여 의견이 있으시거나 전하시고 싶은 소식이 있으시면 nanhee@textnet.kr로 알려주세요! 여러분의 메일을 기다립니다.


○ ChatGPT가 흥행하게 된 이유 중 하나는 그것이 대화형 UI를 띄고 있다는 점일 것입니다. 앞으로 출시될 많은 서비스가 대화형 UI를 적용하게 될 것이며, 이는 CUX(Conversational User Experience)의 중요성이 증대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는 기존의 UX 패러다임과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뜻합니다.


○ CUX와 UX는 사용성을 개선하는 목표는 공유하지만, 고려해야 할 요소와 문제 해결 방식이 매우 다릅니다. CUX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화 시나리오, 사용자의 의도 파악, 답변 정확도, 인터페이스 디자인 및 개인화된 대화를 위한 기술적 기능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고려가 필요합니다. 시각적 요소를 주로 다루었던 기존의 UX 디자인은 대화형 UI 시장에 발맞춰 큰 변화를 겪게 될 것 같습니다.


○ 특히 ChatGPT의 경우, 모델을 학습시키는 방식 또한 대화의 형태를 띱니다. 자연어로 된 질문을 거듭해가며 답변을 교정해 줌으로써 정답에 가까워지는 대화형의 학습이 가능해졌죠. UX의 변화가 비단 사용자에게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도 주목할 만한 점이겠습니다.




◎ 이 주의 소식

- 스피링크,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1대1 컨설팅 운영

- ‘감정’에 관한 질문에는 채팅 종료...MS, 빙 오류 개선

- 구글·MS "챗봇 검색 비용으로 2년간 고생할 것"

- 초거대 AI와 슈퍼컴퓨터도 빌려쓰는 시대 열린다

- 오픈AI CEO "미래 AI 기술, 생각만 해도 두려워"

- AI 검색엔진 대중화 언제쯤···"윤리 문제 해결부터"

- 데이터바우처 사업 894억 투입···2010개 기업 지원

- 새로운 빙은 검색에 AI 채팅을 어떻게 결합했나

- AI 전문가 "인간과 같은 인공지능 개발, 주의해야 해" 경고

- 챗GPT가 앞당긴 AI 미래 '한눈에'…AI반도체부터 로봇까지

- “네가 사람이니? 축구 해설하게”…실시간으로 한다는데

- [영상] 어텐션~ 챗GPT는 어떻게 언어의 도사가 됐나? (배순민 KT 연구소장)


사업자명. 주식회사 스피링크 | 대표자명. 고경민

E-mail. cs@textnet.kr

Addr.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 366 트윈시티 남산 오피스동 패스트파이브 서울역점 807호, 812호

Biz License. 827-86-00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