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C 2022에서 새로운 초거대 AI 언어모델 기능 공개 인코더와 디코더 모두 갖춘 '인코더-디코더 아키텍처' 인간과 자연스러운 소통 추구, 언어이해와 생성 가능 "300억 개 파라미터로 학습 중, 2000억 개로 늘릴 것"
KT가 기존 언어모델을 뛰어넘는 새로운 초거대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마트 스피커, 콜센터, 로보틱스 등 다양한 분야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만큼 차별화된 언어모델이 필요한 까닭이다. KT가 개발하고 있는 언어모델은 구글 '버트(BERT)'와 오픈AI의 'GPT-3'의 개량된 버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영경 KT 연구원은 24일 세계 최대 AI 개발자 컨퍼런스로 불리는 엔비디아 GTC 2022에서 KT가 개발 중인 차세대 언어모델을 공개했다. 서 연구원은 "KT는 현재 초거대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면서 "여러 분야 언어를 이해하는 능력과 자연스러운 문장 생성능력을 개발하려면 초거대 AI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KT가 개발하는 언어모델은 인코더-디코더 아키텍처"라고 밝혔다.
국문학, 언어학, 심리학 석·박사를 포함한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언어전문가 그룹으로서, 고객사의 니즈에 부합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설계·가공·구축하고 내부 R&D를 통해 설계 방식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최적의 설계 방법을 제안합니다. 프로젝트 목적에 따라 적합한 숙련된 크루를 선별하여 투입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고품질의 학습데이터를 생산합니다.
[이 기사는 TEXTNET이 참여하고 있는 프로젝트 또는 파트너사 관련 기사입니다.]
GTC 2022에서 새로운 초거대 AI 언어모델 기능 공개
인코더와 디코더 모두 갖춘 '인코더-디코더 아키텍처'
인간과 자연스러운 소통 추구, 언어이해와 생성 가능
"300억 개 파라미터로 학습 중, 2000억 개로 늘릴 것"
KT가 기존 언어모델을 뛰어넘는 새로운 초거대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마트 스피커, 콜센터, 로보틱스 등 다양한 분야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만큼 차별화된 언어모델이 필요한 까닭이다. KT가 개발하고 있는 언어모델은 구글 '버트(BERT)'와 오픈AI의 'GPT-3'의 개량된 버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영경 KT 연구원은 24일 세계 최대 AI 개발자 컨퍼런스로 불리는 엔비디아 GTC 2022에서 KT가 개발 중인 차세대 언어모델을 공개했다. 서 연구원은 "KT는 현재 초거대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면서 "여러 분야 언어를 이해하는 능력과 자연스러운 문장 생성능력을 개발하려면 초거대 AI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KT가 개발하는 언어모델은 인코더-디코더 아키텍처"라고 밝혔다.
* 출처 : AI타임스(https://www.aitimes.com)
▶ 기사 원문 보기
국문학, 언어학, 심리학 석·박사를 포함한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언어전문가 그룹으로서,
고객사의 니즈에 부합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설계·가공·구축하고
내부 R&D를 통해 설계 방식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최적의 설계 방법을 제안합니다.
프로젝트 목적에 따라 적합한 숙련된 크루를 선별하여 투입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고품질의 학습데이터를 생산합니다.
>> 서비스 문의하러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