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NET, 국내 최대 자연어처리 학회 HCLT2022에 논문 채택

조회수 1144


인공지능 학습용 텍스트 데이터 구축 및 설계 서비스인 TEXTNET의 논문이 2022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HCLT2022)에 채택되었습니다!


구두발표로 채택된 TEXNTET의 논문은 ‘성격유형별 문체 특성 기반 맞춤형 광고메시지 자동생성 연구’입니다. MBTI에서 착안하여 성격 유형을 구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체를 달리하여 고객 성향에 맞춘 광고메시지를 자동 생성해내는 모델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 모델에서는 MBTI 중에서도 인식 및 판단기능 선호지표를 가지고 성격유형을 정의했습니다. ST, SF, NT, NF로 구분된 성격유형의 특징을 구체화하고 그에 맞는 표현 방식과 설득전략, 마케팅 전략을 배치하여 프레임워크를 설계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 프레임워크를 반영해 구축한 데이터를 인공지능 모델에 학습시키면 유형별 문체 특징과 소구점을 포함한 광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어 타겟 마케팅 측면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S(감각) vs N(직관)

정보 수집 및 인식 방식의 선호 경향

→ 인지 기능의 특징을 적용하여 문체 설계



T(사고) vs F(감정)

의사 결정 방식의 선호 경향

→ 판단 기능의 특징을 적용하여 설득 전략 구체화


또한 이 문체 프레임워크에는 TEXTNET의 강점이 십분 반영되어 있는데요. 바로 ‘페르소나 설계’입니다. ‘페르소나 설계’란 도메인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일치하는 전략적이고 감성적인 데이터를 설계하고 구축하기 위해 캐릭터 설계와 더불어 내러티브, 문체와 패턴, 대화 전략을 설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성격유형에 따라 문체를 달리하여 고객의 선호에 맞춘 데이터를 만들 수 있게 설계한 문체 프레임워크는 TEXTNET의 ‘페르소나 설계’ 노하우를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TEXTNET은 ‘페르소나 설계’를 통해 여러 AI 선도기업들과 협업을 진행해 왔습니다. 지난해 말에는 AI 대화 설계와 페르소나 설계 노하우를 인정받아 카카오계열사인 넵튠과 대교인베스트먼트로부터 총 25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한 바 있습니다. 또한 페르소나를 지닌 멀티턴 대화 데이터, 버츄얼 휴먼을 위한 대화 데이터 등을 구축한 경험으로 상호작용을 통해 몰입을 만드는 AI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는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한국인지과학회가 주최하는 학술대회로 올해 34회를 맞이했습니다. AI 기술을 접목한 한국어 처리 기술 개발과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국내에서 가장 권위있는 학회로, 매년 한글날 전후로 개최됩니다.


 

오는 10월 18일~19일 양일간 경주에서 진행되는 이 학술대회 현장에서 TEXTNET도 많은 분들께 연구성과를 선보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국내 최대 자연어처리 학회인 만큼 흥미로운 주제들이 많을 것 같아 참가하는 입장에서도 기대가 됩니다!




TEXTNET은...

국문학, 언어학, 심리학 석·박사를 포함한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언어전문가 그룹으로서,
고객사의 니즈에 부합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설계·가공·구축하고
내부 R&D를 통해 설계 방식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최적의 설계 방법을 제안합니다.
프로젝트 목적에 따라 적합한 숙련된 크루를 선별하여 투입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고품질의 학습데이터를 생산합니다.


>> 서비스 문의하러 가기


사업자명. 주식회사 스피링크 | 대표자명. 고경민

E-mail. cs@textnet.kr

Addr.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 366 트윈시티 남산 오피스동 패스트파이브 서울역점 807호, 812호

Biz License. 827-86-00073